티스토리 뷰

누구나 채권을 많이 들어보고 알고는 있지만 채권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는 있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채권에 대해 의미. 주식과 채권의 차이 및 채권에 대한 용어와 종류에 대해 알려드려 볼까 합니다.

 

채권의 의미

채권이라는 자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한 차용증서를 말합니다. 돈을 빌리면서 이자와 원금을 언제 갚겠다고 약속한 걸 적어놓은 증서입니다. 이 종이를 기준으로 이 채권을 발행한 사람이 발행자이나 채무자가 되어서 돈을 갚아야 하는 사람을 말하고 반대로 이 채권을 산 사람은 투자자이자 채권자로 말하며 돈을 받아야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이제 우리가 여기서는 채권자가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역사에서 주식을 다 합한 것 보다 채권을 다 합한 것이 더 클 정도로 채권시장은 정말 크게 존재해 왔습니다. 그래서 펀드를 살 때도 ETF를 살 때도 다양한 금융상품을 살 때마다 직간접적으로 우리는 채권을 계속 마주하게 됩니다. 채권은 보통 만기라는 기간을 정해 놓고 만기까지는 정해진 이자를 주다가 만기가 되면 원금을 돌려주는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발행한 곳이 돈을 더 잘 벌든 못 벌든 중요하지 않고 중요한 것은 정해진 날짜에 이자와 원금을 받는 것입니다. 기업의 주식의 가격은 실적에 따라서 오르락내리락 하지만 채권의 원금을 못 갚을 정도로 파산 하는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채권은 안전자산으로 통합니다. 채권이 존재하는 이유는 투자가 입장에서는 정기적으로 다박다박 이자를 받기 위해서 투자를 하고 기업입장에서는 필요한 자금을 한 번에 조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발행을 합니다. 이자를 갚는 금액과 스케줄 등이 사전적으로 다 정해져 있다고 해서 채권을 영어로 하면 Bond라고 부르지만 Fix incom이라고도 부르는 이유입니다.

 

주식과 채권 차이

주식과 채권은 자본주의의 근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기업의 자금이 공급이 되고 기업은 그 돈으로 열심히 기업 활동을 해서 우리의 삶을 더 은택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장사가 아주 잘 되는 떡볶이가게가 있다고 생각을 해보면 장사가 잘 되는 만큼 확장을 고민하게 될 거고 확장을 하려면 많은 돈이 필요합니다. 장사가 잘 되니까 그 돈을 다 모아서 확장을 할 수도 있지만 좀 더 빨리 자금을 조달해서 좀 더 빠른 확장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달 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누군가는 투자금을 주고 수익이 나면 반반 나누자고 제안 할 수도 있고 또 다른 한쪽은 돈은 3년 동안 빌려줄 테니 알아서 쓰고 ,쓰는 동안 이자를 달라고 제안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게 바로 주식과 채권의 차이입니다. 주식은 동업을 하는 것이니까 기업이 흥하면 더 흥하고 기업이 망하면 같이 망합니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것을 주식이라고 부르고 이들을 주주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렇게 조달된 돈을 자기자본이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채권은 동업을 하는 게 아니라 돈만 빌려주는 것입니다. 기업이 더 성장을 하던지 안 하던지 상관없이 망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것은 채권이라고 부르고 이들은 채권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조달된 돈은 회사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타인자본으로 구분합니다. 대부분의 기업을 이렇게 주식과 채권, 회사의 돈과 빌린 돈으로 구성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채권의 구조와 용어, 채권의 종류

채권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면 우리가 친구에게 돈을 빌려보는 것을 생각해 보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만약 A라는 친구가 B라는 친구에게 돈을 빌린다고 가정한다면 A라는 친구가 “B야 천만 원만 빌려줘”, “내일 바로 갚을게 라고 하면서 내일 볼 사이 이니까 이자가 거의 없이 빌려 줄 수 있습니다. 고마움의 대가는 밥 한 끼 정도로 해결 가능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게 단기채권입니다. 우리가 CMA에 자금을 예치하면 소정의 이자를 받는 것이 주로 이런 채권에 투자하기 때문입니다. 짧을수록 리스크도 작고 이자도 작습니다. 다른 예로 AB에게 “B야 천만 원만 빌려줘”, “10년 뒤에 천오백만 원으로 갚을게라고 하면 고민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10년이면 그 사이에 이 친구가 빈털터리가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연락이 끊어 질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리스크가 크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B“10년은 너무 길어서 좀 부담스러워 ”, “미안해 그건 안 되겠어하면 거절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A는 이런 제안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불안하면 내가 10년이 될 때까지 세 달에 한번 씩 이자를 10만 원씩 넣어 주고 10년째 되는 날에는 원금 천만 원을 돌려줄게 이렇게 제안을 합니다. 그럼 이제 생각이 다르게 됩니다. 이자를 3개월에 한 번 십만 원을 준다면 자금을 활용하기에도 좋을 거 같고 그렇게 받은 이자로 다른 투자도 많이 할 수 있을 거 같은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A라는 친구의 재산 정도가 얼마정도 있는지 ,과거에 빌린 돈을 잘 갚았는지 , 진짜 믿을만한 친구인지 이런 걸 확인해 보면서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채권 거래가 성사가 됩니다. 이런 예시를 통해서 채권의 다양한 구조와 용어가 나옵니다. 별도의 담보 없이 신용으로 돈을 빌렸다는 것은 무보증사채라고 부릅니다. 3개월에 한 번 씩 이자를 받는다는 의미는 ‘3개월 이표채라는 이자지급방식을 택하는 것입니다. 원금 천만 원을 기준으로 1년에 이자40만원을 지급하니까 표면금리 4%’라 되는 것입니다. 만기는 10년 뒤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게다가 AB의 신뢰도를 조사하게 되는데 그걸 신용등급을 살핀다고 볼 수 있습니다.채권의 종류는 발행자에 따라 종류가 달라집니다. 크게 공채사채로 나뉩니다. ‘공채는 국가가 발행하는 국채대한민국이 보증하는 가장 안전한 채권입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지방채’, 공사에서 발행하는 특수채와 같은 공채 들이 있습니다. 사채의 종류에는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회사채’, 금융사가 발행하는 금융채와 같은 사채로 구분이 됩니다. 금융투자에서 말하는 사채라고 하는 것은 보통 회사채의 줄임말입니다. 여기서 회사를 뜻하는 사채와 개인 간의 사사로운 거래를 뜻하는 사채랑 헷갈려서는 안됩니다. 채권시장의 규모는 우리나라의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하면 1,955조 원 정도 코스닥은 364조 원 정도 나옵니다. 반면 상장되어 있는 채권의 잔액은 무려 2,347조 원이나 되는걸 보면 채권 시장의 규모가 얼마나 큰지 알 수가 있습니다. 이미 존재하는 채권 중에서 회사채의 비중은 별로 크지 않고 국공채가 훨씬 비중이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채권은 신용도가 아주 높은 것들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채권을 안전자산이라고 부릅니다.

반응형